보험정보

보험금 청구 질병코드 N393 복압성 요실금 원인 및 진단 치료 방법

또치일상 2024. 6. 21. 09:40
반응형

보험금 청구 질병코드 N393 복압성 요실금 원인 및 진단 치료 방법에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질병코드 N393 공식 질병 분류 명칭은 복압성 요실금 (스트레스성, 긴장성 요실금) 입니다. 요실금은 우리나라 여성의 40%가 경험할 정도로 흔한 질환입니다. 그럼 스트레스 요실금에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보험금 청구 질병코드 N393 복압성 요실금 원인 및 진단 치료 방법

요실금 이미지

복압성 요실금이란?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기침이나 재채기 그리고 웃을 때 또는 일상에서 소변이 나오는 현상으로 방광이 골반 근육들의 압력을 견딜만큼 강하지 않거나 요도 괄약근의 힘이 충분하지 안항서 발생됩니다. 복압성 요실금은 흔한 질병이고 완치율이 높지만 수치심 등의 이유로 증상을 방치하고 악화되는 경우가 있어 적극적인 치료와 행동이 필요합니다.

원인

임신과 분만 혹은 출산 시 생기는 손상과 폐경과 질염, 비만, 노화 등이 있으며 남성의 경우 전립선암 치료 과정에서 전립선 절제술을 시행한 경우 입니다.

진단 치료 방법

병력청취(환자와 의사가 증상 및 과거 병력을 이야기), 배뇨일지, 패드검사, 요역동학 검사 등 진단을 하고 비수술 치료에는 골반저근운동인 케켈운동이 있습니다. 비수술적치료는 전기자극요법과 약물치료가 있습니다. 수술 치료에는 슬링술식 혹은 TVT(Tension free vaginal tape)가 있고 수술적 치료가 비수술적 치료보다 재발률이 낮고 효과적입니다. 비수술적 치료의 경우 보험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체중 조절과 규칙적인 운동 등 생활 습관의 개선도가 필요합니다.

보험금 청구 가능 여부

요실금은 기본적으로 건강보험 적용 및 지원을 받습니다. 건강보험은 요역동학 검사 및 수술 치료 한정으로 비수술치료는 적용 대상이 아닙니다. 요역동학 검사 결과에 따라 요실금 수술비 보험 여부가 결정되는데 단 의사 진단에 따라 치료받았을 경우입니다. 필요 서류는 수술확인서 또는 한국질병분류번호가 보이는 진단서, 날짜가 적혀있는 입퇴원 확인서와 진료비 영수증, 진료비세부내역서가 있습니다. 요실금의 경우 특정 수술비 보험 여성특정질환보장 등의 경우 보장을 받을 수 있고 질병수술비와 종수술비의 경우 보험 회사 별로 보장 유무가 다릅니다. 어떤 수술비 보험을 갖고 있는지 꼭 미리 확인해 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반응형